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권의 변화에는 어떤것이 있을까?

by lala0815 2023. 2. 8.
반응형

12.5.1 연안 저지대의 침수

기후변화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바닷물의 온도 상승과 열팽창, 해수면 상승, 해양의 산성화, 영구 동토와 극지방의 해빙 소실, 열대성 저기압 및 폭풍의 강화 등 다양하다. 이러한 영향 하에 놓여있는 연안의 인구 밀집 지역, 저지대와 삼각주, 군소 도서 및 산호초는 특히 취약하다. 대도시들의 대부분은 연안에 근접해 있고 인구밀도가 높은 농업지역은 큰 강의 삼각주에 형성돼 있다. 지구 온난화의 가장 확실한 효과 가운데 하나인 해수면 상승이 향후 수 세기 동안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연안의 저지대와 삼각주는 해수의 범람과 홍수의 위험 및 강풍을 동반한 폭풍의 악영향 등에 노출된 가능성이 높다. 배출전망치 상 지구의 기온이 3℃ 정도 상승하는 2080년경에는 전 세계 인구의 1500만 명 이상이 홍수의 위협에 처하고 연안의 30% 이상은 유실될 가능성이 있다. 그림 12.20은 2050년에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연안 삼각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예상 인구를 보여준 것이다. 극한(extream)경우는 인구 백만 명 이상, 높은(high) 경우는 백만에서 50000명 그리고 보통(medium)인 경우는 50000에서 5000명이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방글라데시의 갠지스-브라마푸트라 삼각주,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 그리고 이집트의 나일 삼각주는 극심한 경우이다.

12.5.2 육상의 사막화
사막화(desertification)는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건조지역의 토지가 황폐해지는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사막 상태를 초래한다. 토지의 황폐화는 인간의 활동과 주거패턴 및 토지 이용의 결과로 나타나며, 천수답과 관개 농지, 산림 및 목초지 등의 생물학적 과정들이 단순해지면서 경제적 생산성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사막화 현상은 미국의 남서부, 멕시코 동부,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부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 세계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 서북부를 포함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 
물이 부족한 건조지역에서는 1차 생산과 영양분 순환이라는 두 가지의 상호 연결된 주요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장기적으로 보면 지표면에서 증발한 수증기와 식물에 의한 증발산량의 합은 강수량과 평형을 이룬다. 건조지역은 건조에도 따라 초 건조 (hyper-arid), 건조 (arid), 반건조 (semi-arid) 및 건조 저습 (dry sub-humid) 지역으로 분류된다. 건조되는 연평균 강수량 대비 잠재 증발산량으로 표현된 연평균 증발 수요의 비율이다. 건조 지수(AI)는 건조 도의 장기간 평균으로 1 이하이면 증발산량이 강수량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건조 지수가 0.65 이하인 건조지역에서는 연평균 증발산량이 연평균 강수량보다 최소 1.5배 이상이 된다.

건조지역의 4가지 분류에 속하는 면적은 전 지구 대륙의 41.3%이고, 위도상으로 63°N와 55°S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건조지역의 72%는 개도국이, 나머지 28%는 선진국이 자리 잡고 있다. 세계 인구의 34.7%인 약 20억 명이 건조지역에 살고 있으며, 그들 가운데 약 90%가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이다. 건조지역의 사막화가 인류에게 주는 피해에는 황사, 식량 감소 및 경제적 손실 등이 있으며, 지구 환경에 대한 피해로는 지구 온난화, 생물종의 다양성 감소 및 염류화 등이 있다. 황사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증가는 인간의 호흡기 질환, 안질, 심혈관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황사의 간접적인 피해로는 가시거리 제한에 의한 교통 및 물류에 대한 피해, 일사량 감소에 의한 경작물의 피해 및 중금속과 오염물질에 의한 육상과 해상의 생태계 파괴 등을 들 수 있다. 사막화가 확산하면 식량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식량안보가 위협을 받는다. 사막화가 발생하는 국가의 대부분이 개발 도상국으로 사막화의 확산과 식량 부족 간의 악순환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집중된 개발 도상국의 인구증가율을 고려하면 식량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사막이 발생한 토양은 지력과 식생의 능력이 감소하고 방목과 개간이 추가로 진행되면 사막화가 더욱 확산하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사막화가 진행될수록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지속적인 발전이 저해되기 때문에 기아와 빈곤 등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산림 1ha에서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일반 자동차 1대가 연간 배출하는 양과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숲이 사라지면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이 배출원으로 바뀌어 온실가스의 배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지구의 사막화와 온난화는 상관관계를 갖고 악순환을 증폭시킬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