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

대기 중의 물 현상 (구름과 안개) 대기 중의 물 현상(hydrometeor)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응결 또는 증착 과정을 거쳐 액체나 고체의 입자로 변환된 후, 대기 중에 떠 있는 현상, 지상으로 낙하하는 현상, 지상풍에 의해 날리는 현상 및 지상의 물체에 부착된 현상을 말한다. 대표적인 현상에는 구름과 안개 및 강수가 있다. 2.7.1 구름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된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 또는 이 두 가지의 혼합물이 지상의 대기 중에 떠 있어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자연 현상이다. 대부분의 구름은 대류권에 존재하지만, 진주 운과 야광운 및 권운 등은 가끔 성층권 또는 그 이상의 고도에 나타난다. 구름은 주로 저기압과 전선에 관련된 대기의 수직운동의 결과로 형성된다. 구름 입자는 보통 0℃ 이하에서 과냉각 수적으로 존재하는데.. 2023. 2. 19.
세계의 기후구분 기후 시스템은 5개의 권역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외부의 강제 과정(external forcing mechanism)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외부 강제력에는 지구의 열 수지와 관련된 태양 복사량의 변화와 인간 활동에 기인하는 대기 조성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영향력이 큰 태양 복사량의 변화는 태양 자체의 광도 변화, 태양활동 및 지구궤도의 변화에 기인한다. 기후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외부 강제력에 반응하여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equilibration times) 즉, 반응시간은 다양하다. 대기권 내 대류권의 반응시간은 수일에서 수주까지로 비교적 짧지만 성층권이 복사 평형을 이루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린다. 일반적으로 열용량이 큰 해양의 반응시간은 대기권에 비해 길고, 수권의 심해와 빙.. 2023. 2. 19.
기후의 의미와 기후요소, 기후인자 7.1.1 통계적 의미 기후는 특정 지역에 대해 누년에 걸쳐 관측된 기상요소(meteorological element)의 통계 특성으로 평균과 극값 및 발생빈도를 말한다. 통계적 의미에서 30년 동안의 기상요소에 대한 평균(climatological normal)과 변동성(variability)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월, 계절 및 년 별로 변화하는 기후 값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시간 규모가 수십 년 이상이어야 한다. 세계 기상기구(WMO)에서 권고하고 있는 기후 표준 평년값(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은 1931~1960년, 1961~1990년, 1991~2020년과 같이 고정된 30년간의 누년 평균값을 말하고, 임의의 30년간 누년 평균값은 기후 평년값(climat.. 2023. 2. 15.
태양계의 구성 1.1.1 태양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열과 에너지를 방출하는 복사체로 지구에서 1억 4960만 km(1AU) 떨어져 있다. 태양의 질량은 1.989 ×1030㎏으로 지구 질량의 332900배이고, 반경은 6.96x105km로 지구의 109배이다. 태양 표면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수소가 70%로 대부분이며, 헬륨이 28%이고 다른 기체가 2%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 표면의 빛이 지구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8분 19초이고, 태양 내부의 핵융합에 의해 전자기 복사 형태로 우주에 방출되는 막대한 에너지 가운데 400~70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영역만을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다. 태양의 대기(Atmosphere)는 광구 바깥에 존재하는 코로나(Corona)와 채층(Chromosphere)을..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