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

지구의 탄생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지구는 약 46억 년 전에 태양계 행성 가운데 5번째로 큰 행성으로 탄생하였으며, 인간을 포함하여 수백만 종에 달하는 생물들이 살고 있다. 태양으로부터 3번째에 위치한 지구는 태양과 달을 포함하는 우주의 많은 천체와 상호작용을 한다. 지구는 궤도면에 23.45° 기울어진 축으로 자전하면서 유일한 자연 위성인 달과 함께 태양 주위를 36.26일에 한 번씩 공전하고 있다. 태양과 함께 조석 현상을 발생시키는 달의 직경은 지구의 14, 질량의 181, 표면 중력은 16 정도이다. 달은 자전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 한쪽 면만 관측된다. 하늘에 보이는 달과 해의 크기가 거의 같은 이유는 달의 궤도 반지름 즉, 지구와 달의 거리가 지구 직경의 약 30배 정도이기 때문이다. 1.2.1. 물리·화학적 .. 2023. 2. 14.
기온 역전층의 종류 4.6 기온 역전층 대류권 내의 기온은 일반적으로 고도가 증가하면서 기온이 하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도가 증가하면서 기온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기온 역전이라 하고 역전이 일어나는 기층을 역전층이라 한다. 역전층은 발생 위치에 따라 지표면에 접해있는접지 역전(surface inversion)과 대기 중의 공중 역전(elevated inversion)으로 구분되며, 생성 고도에 따라 오염물질이나 연기의 확산 형태가 달라진다. 4.6.1 복사 역전 복사 역전(radiation inversion)은 바람이 거의 없는 맑은 날 밤에 주로 발생한다. 낮 동안 태양 복사에 의해 가열되었던 지표면의 열이 일몰 후의 대기 중으로 방사됨으로써, 상층의 기온이 지표면 부근의 냉각된 기온보다 높아서 생기.. 2023. 2. 10.
지구의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용어 차이점? 8.1 지구 온난화 개요 지구의 온난화와 기후변화를 동일한 의미로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두 용어는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면서 중요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지구의 온난화는 대기권의 기온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며, 기후변화는 장기간의 기상 패턴인 기후 요소가 지역적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기후가 변화하면 열파와 한파 이외에, 가뭄과 홍수 지표면과 해양의 환경, 그리고 식생의 패턴 등이 변화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인 동시에 일부분이다. 8.1.1 지구의 기온 상승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전 지구의 지표면 기온은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운 10년이었다. 이 기간의 기온은 기후 표준 평년값(1961~1990)인 14.0 ℃보다 약 .. 2023. 2. 10.
대기 운동의 규모와 대기의 순환 모형 기상현상은 대기 운동의 결과로 나타나며 시간과 공간 측면에서 다양한 규모를 갖는다. 대기의 가장 큰 순환시스템은 지구 자체의 크기에 달하는 길이 규모를 갖고, 가장 작은 순환은 분자의 평균 이동 거리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대규모의 열대성 저기압은 1000 km 정도의 크기를 갖고 10일 이상 지속되지만, 중간 규모의 뇌우는 수 km의 수평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고 서로 중복되는 영역이 많이 있기 때문에 명확한 경계를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행성 규모의 운동은 주요 대륙과 해양 크기 정도의 수평거리 규모를 갖는 지구의 순환으로, 대류권 상층의 장 파동인 편서풍과 무역풍 및 제트기류 등이 있다. 대규모의 운동은 전통적인 기상관측 네트워크에 의해 분석이 가능한 순환시스템으로 일상적인 기상변화는 이 범위의 운.. 2023.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