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

바다에서도 보이고 있는 온난화의 영향 12.3.1 수온의 상승 바다는 지구 온난화에 의해 발생한 열의 93.4%를 흡수하고 있다. 해양의 열 함량 증가는 바닷물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동시에 빙하가 융해되어 해수면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오른쪽은 1955년부터 2012년까지 전 세계 해양의 열 함량 변화로, 에너지의 단위인 joule로 측정되었다. 미국(NOAA)과 호주(CSIRO) 및 일본(MRI/JMA)의 3개 기관에서 수심 700km까지를 대상으로 각각 계산되었으며, 1971~2000년의 기후 평년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1955년 이후 장기간의 변화 경향에서 바다가 따뜻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나 수십 년 동안 온실가스의 농도가 지속해서 상승한 것과는 달리, 해양의 열 함량은 화산 분출과 엘리뇨 등 기후변동성의 영향으로 해마다 변화하면.. 2023. 2. 8.
기단의 정의와 계절별 기단에 대해 알아보자. 6.1.1 기단의 분류 및 특성 기단(air mass)은 넓은 지역에 걸쳐서 대기의 물리적 특성인 온도, 습도가 수평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분포된 공기 덩어리를 말한다. 여기에서 거의 균질하다는 것은 기단의 경계에서 물리적 특성이 급변하는 것에 대한 상대적 의미이다. 기단의 성질은 발생하는 지면이나 해면의 온도와 습도에 의해 결정되며, 일단 생성된 기단은 대기 대순환에 의해 이동하면서 성질이 변화한다. 그러나 하나의 기단이 일정 지역을 통과하는데 여러 날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영역의 날씨는 거의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기단의 발원지(source region)는 일반적으로 저위도나 고위도에 위치하는데, 그 자체가 가진 물리적 특성이 상부에 위치한 공기 덩이에 충분하게 전달될 정도의 기간 유지되어야 한.. 2023. 2. 7.
온난화에 의한 빙설권의 변화 12.4.1 해빙 면적의 감소 해빙(sea ice)은 계절의 변화와 함께 확장과 축소의 과정을 되풀이한다. 봄철에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면 녹기 시작해서 여름 동안 계속 축소된다. 가을이 되면 해빙의 범위가 최소가 된 후 태양 복사량이 감소하고 기온이 내려가면 또 다른 해빙이 형성되면서 면적이 확대된다. 북극 해빙의 면적은 3월에 최대가 되고 9월에 최소가 되지만, 남극의 해빙은 남반구에서 겨울철인 9월에 최대로 확장하고 여름철인 2월이나 3월에 최소 범위로 축소된다. 1979년 이후 북극 해빙은 여름에 소멸하는 면적이 겨울에 생성되는 면적보다 더 크다. 해빙의 10년 주기 변화 경향에 따르면 최소로 축소되는 면적은 10~15%씩 증가하는 데 반해, 최대로 확장되는 면적은 2~3%씩 감소한다. 이는 최근 .. 2023. 2. 6.